본문 바로가기

 
 
🧠 심리 Book

옷차림이 좋을 수록 상대방의 선행 실천율이 높아진다? - 심리실험

옷차림이 좋을수록 선행 실천율이 높아진다?

같은 사람이라도 옷차림새가 달라지면 상대방에게 받아들여지는 권위와 말의 힘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사람들은 무의식 중에 상대방의 외모나 옷차림새를 보고 그의 요청에 따를지 말지를 결정한다.

 

"오... 옷차림이 번듯한데..? 높은 사람인가..? 이 사람 말을 듣는 게 좋을 것 같아!"

 

"뭐야.. 집에서 입다가 굴러다니던 옷을 그대로 입고 나왔나..? 너무 구질구질하잖아.. 내가 왜 그 말을 들어야 하지..?"

 

이런 식으로 상대방의 차림새를 보고 순간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미국 유타주 위버주립대학교 브래드 J. 부시먼 교수는 150명의 보행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먼저 그는 자신의 실험을 도와줄 사람을 모집한 뒤 그들을 세 그룹으로 나누었고, 서로 다른 옷차림새를 갖추도록 요청했다.

 

A 그룹 - 허름한 차림

B 그룹 - 정장

C 그룹 - 소방관

 

이 세 그룹의 사람들은 보행자에게 다가가 이렇게 부탁했다.

"저기 노상 주차장에 있는 분 보이세요? 저분이 지금 잔돈이 필요한데 없나 봐요. 죄송하지만, 선생님께서 1천 원만 저분한테 드리면 어떨까요? 제가 드리면 좋은데, 마침 잔돈이 없어서요.."

 

이 실험에서 어떤 결과가 나왔을 까..?

소방관 - 82%

정장 - 50%

허름한 차림 - 44%

 

위처럼 알 수 있듯이, 소방관 차림의 실험 참여자가 부탁한 경우 사람들은 대부분 순순히 부탁을 들어주었다.

이 정도 결과라면 소방관 복장을 한 사람이 "가정용 소화기를 한대 사주십시오"라고 부탁한다 해도 대다수가 그 자리에서 지갑을 열고 사주지 않을까 싶다.

그래서 사기꾼은 사람들의 이런 심리를 잘 안다.

그들은 왠지 권위가 느껴지는 옷차림 새로 사람을 속이려 들고, 그런 사기 사건이 끊이지 않고 일어난다.

경찰관 복장을 한 사람이 이런저런 부탁을 해도 역시 사람들은 거절하기 어렵다.

소방관 복장과도 마찬가지로 권위가 느껴지는 복장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대방이 권위 있는 복장을 하고 있다고 무조건 믿어서는 안 된다.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고 겉만 보고는 사람을 판단할 수 없다.

세상에는 겉모습은 멀쩡한데 속은 시커먼 사람이 얼마든지 있다.

 

남자는 하얀색 셔츠를 입으면 호감도 올라간다??

깨끗하게 빨아 반듯하게 다림질한 새하얀 셔츠를 입고 있으면 누구에게나 썩 괜찮은 남자로 보인다. 청결감이 느껴지는 좋은 인상을 주고 싶다면 뭐 입을지 고민하지 말고 바로 하얀 셔츠를 꺼

zerodaily0.tistory.com

 

제로데일리 뉴스픽

유용한 정보,지식, 건강 등을 공유합니다

pf.kakao.com

Calendar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Recent Posts
Popular Posts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