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눈물에 부작용에 대해서 우려한 마음으로 가지고 찾아왔을 것이다.
끝까지 읽으시면 인공눈물에 대한 지식과 안구 건강을 한층 더 쌓이게 되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공눈물 종류
인공눈물의 종류는 3가지가 있다.
1. 점안액
2. 겔 타입
3. 연고 타입
가장 대중적이고 흔한 형태는 바로 '점안액'임을 대부분 알고계실 것이다.
왜냐하면 사용성이 매우 좋고, 즉시 효과가 생기기 때문에 대부분 선호한다. 다만, 지속시간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겔타입과 연고타입은 지속시간이 길어지는 대신 사용성이 낮고, 천천히 효과가 보인다는 단점이다.
그뿐만 아니라, 눈물샘 통해서 목으로 내려와 쓴맛이 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보존제 인공눈물'과 '일회용 인공눈물'로 나눌 수 있다.
보존제 인공눈물은 병에 든 인공눈물에는 강력한 항균성을 지닌 방부제인 벤잘코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흔하다.
인공눈물 부작용
1. 방부제, 일회용 부작용
'보존제 인공눈물'과 '일회용 인공눈물'로 나눌 수 있다.
보존제 인공눈물은 병에 든 인공눈물에는 강력한 항균성을 지닌 방부제인 벤잘코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흔하다.
즉, 방부제는 독성이 강하므로, 1일 5~6회 자주 점적하면 각막세포 성장에 억제할 수 있다.
심하면, 각막염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예방 조치를 잘 취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시기 바란다.
반대로 일회용 인공눈물은 방부제가 들어있지 않아 피부가 예민하신분들도 많이 사용한다.
다만, 개봉 후 세균 증식이 더욱 빠르기 때문에 재사용은 무조건 금지해야한다.
2. 안구건조증
인공눈물에 너무 의존하면 눈물 생성이 줄어들기 때문에 안구건조증이 더 악화될 수 있다.
그래서 인공눈물울 자주 점적한 습관을 줄여야 하며, 눈 건강 관리를 실천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매우 중요한 점은 눈 깜빡임을 자주 해야 한다.
왜냐하면 PC,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를 장기간 사용하면 눈 깜빡임 횟수가 줄어지기 때문에 더욱 건조해지기 때문이다.
3. 알레르기
인공눈물 부작용의 대표적인 증상은 충혈, 눈 자극, 눈꺼풀 가려움, 눈곱, 염증, 통증 등을 유발한다.
이럴 경우 즉시 중지하여야 한다. 심하면 반드시 병원에 방문하셔서 치료받으시고, 충분한 상담을 받아야 한다.
만약 경미할 경우 일반적이기 때문에 너무 걱정 안 해도 될 것 같다.
인공 눈물 올바르게 사용하기
1. 각막에 상처
방부제 인공눈물은 왜 방부제를 넣을까? 그 이유는 간단하다. 바로 뚜껑 때문이다.
세균이 많은 손을 뚜껑에 잡으면 세균이 순식간에 증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주 미량의 방부제를 넣는 이유다.
그래서 각막에 상처가 있다면, 반드시 1일 4회 이하로 넣어야 한다.
2. 안구건조증을 심한 사람은 1회용 인공눈물을 사용해라
안구건조증이 심한 분은 방부제가 없는 일회용 인공눈물을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개봉 후 하루 전에 다 쓰거나 버려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세균이 순식간에 증식하기 때문이다.
다만, 개봉 시 처음 두세 방울은 버리고 사용해야 한다.
왜냐하면 미세 플라스틱 이물질(플라스틱 가루)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3. 렌즈 제거 후 점안하기
렌즈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렌즈 낀 채로 점안한다.
이 부분은 잘못된 방법이다.
렌즈를 뺀 후, 인공눈물을 넣는 것이 맞다.
심지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인공눈물을 넣지 말라고 경고까지 한다.
왜냐하면 렌즈 위에 점안할 경우, 눈가 렌즈 사이를 진공상태로 만들어버리기 때문에 눈에 흡착되거나, 각막에 손상을 입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귀찮더라도, 심하면 시각장애를 겪고 싶지 않으시다면, 반드시 빼고 넣으시길 부디 권장한다.
4. 30초 동안 감아라.
보통 인공눈물을 넣기만 하고 끝내는 경우가 있다.
그렇게 되면, 인공눈물 성분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한두 방울을 넣으면 30초 정도 감고 휴식을 취해야 덜 건조해지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