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정보 Book/📓 잡지식

악몽을 자주 꾸는 이유와 극복하는 방법 3가지 알아보기 - 악몽도 장점이 있다.

악몽을 자주 꾸는 이유와 극복하는 방법 3가지와 알아보기 - 악몽은 장점이 있다.

악몽으로 인해 잠을 설친 경험이 있을 것이다.

몸도 피곤하고 기분도 찝찝하게 만드는 악몽을 꾸는 이유에 대해서 끝까지 읽으시면 악몽에서 벗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악몽이란?

그 말대로 불길하고 무서운 꿈을 꾼다는 의미다.

대부분 불규칙한 생활, 수면 부족,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악몽을 자주 꾸게 된다.

의학적인 용어로 '수면 마비증'이라고 한다.

특히 6~10세 사이의 아이들에게 가장 많이 나타난다고 알려졌다.

그리고 사춘기를 지난 여성에게도 악몽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악몽을 꾸는 이유

1. 부정적인 감정

편도체 (출처:한국경제)
편도체 (출처:한국경제)

뇌에는 부정적인 기억을 재고하는 부위가 편도체다.

편도체는 기억을 담아두는 역할을 하며, 꿈을 꿀 때 편도체가 자극을 받아 흥분하게 된다.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편도체가 예민하게 반응하게 되어 악몽을 자주 꾸게 된다.

그래서 스트레스 해소와 충분한 휴식이 필요하다.

 

2. 수면의 질

렘수면 상태 (출처:에이스침대)
렘수면 상태 (출처:에이스침대)

보통 꿈이 기억에 남는 경우에는 얕은 잠을 자고 난 후다.

꿈을 꿀 때의 상태를 '렘수면 상태'라고 한다.

렘수면 중 대뇌활동은 생활을 할 때와 많이 다르다.

렘수면 중 대뇌는 기억 정리 활동이 반영되어 비현실적 내지 초현실적인 꿈을 볼 수 있다.

렘수면을 통해 우리 뇌가 스스로 치유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기 때문에 꿈에서 나오는 일들은 불안하고 불쾌한 일들이 많다고 한다.

만약 깊은 잠을 자면 자연스럽게 악몽을 꾸지 않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음주와 흡연은 자제할 필요가 있으며, 취침 전에 따뜻한 우유와 건강차를 달여 마시고 잠자리에 눕는 게 효과적이다.

 

3. 수면자세

수면자세도 악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잠을 잘 때 웅크리고 잔다거나 불편한 자세로 취하면 악몽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생체 리듬 또한 영향을 미치는데, 수면의 리듬을 컨트롤하고 있는 뇌의 시각 교차는 스트레스를 감지하는 중추이기도 하다.

그래서 최대한 편한 자세로 취해야 효과가 있다.

 

악몽도 장점이 있다.

원래 꿈이란 사람들이 깨어있는 동안 걱정하던 것을 반영하는 경향이 있다.

인간의 뇌가 기억을 잘 다루기 때문에 막연한 공포가 기억으로 바뀌면 그것은 이미 과거의 일로 크게 두려워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즉, 악몽은 자신 안에 있는 두려움을 멀리하는 작용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악몽은 자신과 자신 주위에서 일어나는 두려운 일이나 싫어하는 것을 처리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므로 악몽에 시달리는 것은 힘들고 괴롭겠지만, 두려움을 떨칠 수 있게 도와주므로 스트레스받을 필요가 없다.

 

악몽을 꾸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니 확인해보시기 바란다.

 

왜 남의 말을 100% 정확하게 알아듣지 못할까? - 심리 실험

'부모님 말씀을 잘 들어야 한다' '선생님이 하시는 말씀을 잘 들어라' 등 어린 시절부터 그 말을 귀에 못이 박이도록 들으며 자란 적이 있을 것이다. 물론 성인이 되어서도 '남이 하는 말을 귀담

zerodaily0.tistory.com

 

제로데일리 뉴스픽

유용한 정보,지식, 건강 등을 공유합니다

pf.kakao.com

Calendar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Recent Posts
Popular Posts
Recent Comments